공중보건학 제1장 건강과 질병
공중보건학
인구집단의 건강을 보호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학문
분야
환경보건분야, 질병관리분야, 보건관리분야
1. 건강과 질병
개요
세계보건기구가 규정한 건강의 정의, 기본권으로서의 건강개념, 질병발생의 요인, 질병의 예방등에 대하여 알아본다.
주요개념
- 생물의학적 건강개념
인간의 신체와 정신은 분리되어 있다고 보고 신체는 마치 기계와 같아 기계가 고장난 상태가 질병이다. 신체의 고장난 부분
이 없으면 건강상태가 된다. 즉 신체에 질병이 없는 상태를 건강으로 보는 개념이다.
- WHO 건강의 정의
단순히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ㆍ정신적, 사회적 안녕이 완전한 상태이다.
- 보건의료서비스 형평성
건강은 기본권으로서 건강요구에 대한 보건의료서비스의 균등한 혜택을 말한다.
- 질병의 자연사
질병이 발생하여 종결될 때까지의 과정을 말한다.
1.1.건강의 개념
2. 건강개념의 변천
(1)생물의학적 건강개념(데카르트의 이원론에 기초를 두고 있음)
정신과 육체는 분리되어 있으며, 정신은 신의 뜻으로 과학의 대상이 될 수 없으나 육체는 마치 시계와 같은 기계로서 부속 하
나가 인간의 지식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고 보았다. 질병은 기계의 부속 하나가 고장 난 것이며 고장난 부분을 고치면 건강
이 회복된다는 개념.
의학 발전에 기여했지만, 다양한 요인에 의한 만성질병의 증가로 한계를 보이며, 치료중심의 방식이 국민 건강 증진에 효과
적이지 못하다는 비판
(2)건강개념의 모형
①생물의학적 모형(Biomedical model)
②생태학적 모형(Ecological model)
- 질병 발생의 원인을 병인, 숙주, 환경으로 보고 3요소가 균형을 이룰 떄가 건강상태라는 모형
- 전영성 질환의 발생기전 설명에는 적합
- 만성퇴행성 질환의 설명 어려움
③사회-생태학적 모형(Socio-ecological model)
- 질병발생의 영향요인을 숙주요인, 외부환경요인, 개인행태 요인으로 보고 행태적 요인을 강조한 모형
- 병인은 환경에 포함
- AIDS, 만성퇴행성질환 등으로 개인의 행태 중요성 인식
3. 건강의 정의
(1)세계보건기구의 정의
"Health is a complete state of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 being and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or infirmity."
- 건강이란 단순히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이 완전한 상태이다.
- 사회적 안녕이란 사회구성원으로서 각자에게 부여된 기능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2)소극적 건강(Negative Health)
- 단순히 질병에 걸리지 않거나 손상, 장애가 없는 상태
(3)적극적 건강(Positive Health)
- 몸과 마음, 정신적으로 안녕한 상태를 누리며 활발하게 사회적 활동을 할 수 있는 상태.
-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이상을 실현해 갈 수 있는 상태.
4. 기본권으로서의 건강
현대에는 국민의 권리로서 건강에 대한 국가의 보호를 받아야 한다는 개념이 일반적임.
(1)보건의료서비스의 형평성
접근의 형평성, 이용의 형평성, 질적 형평성
1.2.질병의 개념
1. 질병의 발생
(1)Gordon의 지렛대 이론(Lever theory)
- 건강상태는 병원체, 숙주, 환경요인 들이 평형을 이루어 어느 쪽으로도 기울지 않은 상태로 간주함.
(2)Clark의 질병발생 3원론
- 질병발생 : 병인, 숙주, 환경 3요인의 상호작용
- 병인 : 병원체 뿐만 아니라, 화학물질, 영양물질, 물리적 요인, 유전적 소인 등
2. 질병의 자연사
Leavell과 Clark는 질병의 자연사를 비병원성기, 조기병원성기, 조기질환기, 발현된 질환기, 회복기 등 다섯 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필요한 예비적 조치를 제시하였다.
- 비병원성기 : 숙주의 저항력, 환경요인이 숙주에게 유리하여 건강을 유지하는 단계
- 조기병원성기 : 병인의 자극형성 단계, 숙주의 면역강화
- 조기질환기 : 병적 변화의 초기 단계, 조기진단 및 조기치료
- 발현된 질환기(임상질환기) : 질병치료로 악화방지 및 장애 최소화
- 회복기 : 질병치료 후 재활단계, 재활서비스, 사회복귀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