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강 보건지표
주요개념
보건지표
보건지표란 인간의 건강상태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제반사항, 즉 보건에 관한 정책, 제도, 자원, 환경, 인구, 가치관 등에 관한 전반적인 수준이나 특성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따라서 보건지표는 인구집단의 건강수준을 측정하는 도구로 지역사회나 국가간의 건강수준을 측정하고 비교․평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사망지표
사망수준을 나타내는 보건지표이다.
출산력지표
출산력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귀족위험도
원인이라고 의심되는 위험요인에 폭로된 단위인구당 질병발생률에서 폭로되지 않은 단위인구당 질병발생률을 뺀 것이다.
상대위험도
어떤 위험요인에 폭로된 사람이 위험요인에 폭로되지 않은 사람에 비하여 특정 질병에 걸릴 확률이 얼마나 높은가를 보는 것이다.
3.1.2. 보건지표의 조건
WHO에서 보건지표가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하기의 필요조건을 갖추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① 이용가능성(Availability) : 주기적으로 생산되어 쉽게 이용 가능해야 한다.
② 일반화(Universality) : 모든 인구집단에 적용 가능해야 하며, 특정 집단인 경우 별도 표시를 해야 한다.
③ 수용성(acceptance) : 개발방법이 타당하여 결과를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④ 재현성(reproducibility) : 동일한 대상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 시 동일한 결과가 나와야 한다.
⑤ 특이성(Specificity) : 측정하고자 하는 현상만을 반영하여야 한다.
⑥ 민감성(Sensitivity) : 측정하고자 하는 현상의 변화정도(크기)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⑦ 정확성(Validity) : 측정하고자 하는 현상을 정확히 나타내어야 한다.
3.1.2. 보건지표의 구분
세계보건기구에서는 국민건강을 위한 제반 사항의 진척과 건강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네 개의 주요 지표로 구분하여 이용할 것을 권장하였다.
(1) 보건정책지표
- 건강에 대한 정치적인 공약 및 정책
- 보건자원의 배분 및 공평 정도
- 보건사업에 대한 지역사회의 참여도
(2) 보건에 관련된 사회·경제적인 지표
- 인구
- 국민소득
- 경제활동
- 교육정도 등
(3) 보건의료관리지표
- 의료의 효용성
- 의료에 대한 물리적 접근성
- 의료에 대한 경제적 접근성
- 의료의 활용성 등
(4) 건강상태지표
- 영아사망률
- 평균수명
- 모성사망률
- 사인별 사망률
- 질병 발생률 등
3.2. 사망지표
3.2.1. 보통사망률(Crude death rate)
인구 1,000명당 1년간 발생한 총 사망자 수
보통사망률 = 1년간 총 사망자 수/연앙인구 x 1,000
3.2.2. 특수사망률(Age-sex specific death rate)
특정집단의 사망률
성별·연령별 특수 사망률 = 특정 성별·연령별 년간 총 사망자 수/해당집단의 연앙 인구 x 1,000
3.2.3. 영아사망률
영아란(Infant) 생후 1년 미만의 아이를 말함.
영아사망률 = 연간 1세미만의 사망아 수/연간 총 출생아 수 x 1,000
3.2.4. 신생아사망률(neonatal morality period)
신생아는 생후 28일 미만의 아이를 말함.
신생아사망률 = 연간 생후 28일 미만의 사망아수/연간 총 출생아 수 x 1,000
영아 사망 수 중 신생아 사망 수의 비율이 커질수록 해당 지역이나 국가의 건강수준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는 a-index로 나타내며 1에 가까워질수록 건강수준이 높다.
α- index = 영아 사망수/신생아 사망수
3.2.5. 사산율(Fetal death rate or still birth rate)
사산율 = 총사산아수/총출생아수 + 총사산아수 x 1,000
3.2.6. 주산기사망률
주산기 사망 : 임신 28주 이후 사산아와 생후 7일 미만의 사망아
주산기 사망률 : 임신 28주이후 사산아수 + 생후 7일미만의 사망아수/총 출산아수 X 1,000
3.2.7. 모성사망률
모성사망 : 임신, 출산, 산욕기 산모의 사망
모성사망률 : 연간 모성사망자수/총 출생아수 X 100,000
3.2.8. 비례사망지수
전체 사망자 수 중에서 50세 이상의 사망자 수가 차지하는 백분율이 비례사망지수(Proportional Mortality Indicator, PMI)이다.
비례사망지수 = 연간 50세 이상 사망자수/연간 총사망자수 x 100
3.3. 출산력지표
'가임력'(Fecundity)
- 생물학적 임신능력
'출산율'(Fertility rate)
- 한 인구에서 발생된 출산수의 빈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정상출생, 사산 및 유산을 모두 포함한 것이다.
'출생'
- 분만 중 정상출생만을 의미한다.
3.3.1. 보통출생률(Crude birth rate, 조출생률)
보통출생률 = 연간 총 출생아수/연앙 인구 x 1,000
3.3.2. 일반출산율(General fertility rate, GFR)
가임연령의 여자인구에 대한 특수출생률
일반출산율 = 연간 총 출생아수/가임연령의 여자 인구 x 1,000
3.3.3. 연령별출산율
f(x) = x세 여자가 낳은 출생아수/x세의 여자 인구 x 1,000
3.3.4. 합계출산율
한 여성이 일생을 지내는 동안에 아이를 몇 명이나 낳는지 나타낸 지수
합계출산율 =
3.3.5. 총재생산율 (Gross reproduction rate, GRR)
한 여자가 일생동안 낳는 평균 여자아이 수, 15~49세 연령층 여자의 연령별 여아 출산율의 합계
3.3.6. 순재생산율(Net reproduction rate, NRR)
출생여아의 가임 연령까지의 생존율을 고려한 총재생산율
3.4. 질병관련지표
3.4.1. 발생률(incidence rate)
단위 인구당 일정 기간에 새로 발생한 환자의 비율
발생률 = 위험에 폭로된 인구 중 새로 발병한 환자수/일정기간 위험에 폭로된 인구(감수성자) x 10x
3.4.2. 발병률(attack rate)
유행의 전체 기간 중에 새로 발병한 환자의 비율
3.4.3. 2차 발병률(secondary attack rate)
발단환자(index case)를 가진 가구의 감수성자 중에서 병원체의 최장 잠복기간에 발병하는 환자의 비율이다. 질병의 감염력·전염력을 측정하는데 유용하다.
2차 발병률 = 접촉한 감수성자 중 발병한 환자수/환자와 접촉한 감수성자 x 100
3.4.4. 유병률
일정시점 또는 일정기간의 인구 중 존재하는 환자의 비율로 시점유병률과 기간유병률이 있다.
시점유병률 = 일정시점에서의 환자수/일정시점의 인구 x 10x
기간유병률 = 일정기간 내 존재하는 환자수/일정기간의 중앙인구 x 10x
*발생률과 유별률의 차이
- 발생률 : 위험에 폭로된 인구(감수성자) 중 특정 질병에 걸릴 확률의 개념(분모에 면역형성자·현재환자 제외)
- 유병률 : 일정시점 또는 일정기간의 인구 중 존재하는 환자의 비율 개념
3.4.5. 귀속위험도, 상대위험도
귀속위험도(기여위험도)
위험요인에 폭로된 단위 인구당 질병발생률에서 위험요인에 폭로되지 않은 단위 인구당 질병발생률을 뺀 것(특정 원인 때문에 발생하는 질병발생률이 얼마나 되는 지를 보는 지표)
귀속위험도 = 폭로군의 질병발생률 - 비폭로군의 질병발생률
Ex)
상대위험도(비교위험도)
어떤 위험요인에 폭로된 집단의 특정 질병발생률이 위험요인에 폭로되지 않은 집단의 특정 질병발생률보다 얼마나 높은지를 보는 지표
1. 보건지표의 구분은 보건정책지표, 보건에 관련된 사회ㆍ경제적인 지표, 보건의료관리지표, 건강상태지표 등이 있다.
- 보건정책지표 : 건강에 대한 정치적인 공약 및 정책, 보건자원의 분배 및 공평정도, 보건사업에 대한 지역사회의 참여도
- 보건에 관련된 사회․경제적인 지표 : 인구, 국민소득, 수입분포, 경제활동, 교육정도, 주택환경, 식량유용성 등
- 보건의료관리지표 : 의료의 효용성, 물리적 접근성, 경제문화적 접근성, 의료의 활용성, 의료의 질
- 건강상태지표 : 영아사망률, 유아사망률, 평균수명, 모성사망률, 발생률, 유병률 등
2. 사망지표에는 보통출생률, 성별ㆍ연령별 특수사망률, 영아사망률, 신생아 사망률, 사산율, 주산기사망률, 모성사망률, 비례사망지수 등이 있다.
3. 출산력지표에는 보통출생률, 일반출산율, 연령별 출산율, 합계출산율, 총재생산율, 순재생산율 등이 있다.
4. 질병 관련지표에는 발생률, 발병률, 2차발병률, 유병률, 귀속위험도, 상대위험도 등이 있다.
- 발생률 : 단위인구당 일정기간에 새로 발생한 환자수로 나타내며 이 질병에 걸릴 확률개념으로 면역을 가진사람은 분모에서 제외한다.
- 발병률 : 발병률은 발생률과 유사하나 발병률은 유행의 전체기간 중 새로 발병한 비율이고, 발생률은 유행의 일정기간에 새로 발생한 비율이다.
- 2차 발병률 : 발단환자를 가진 가구의 감수성 있는 가구원 중에서 이 병원체의 최장 잠복기간에 발병하는 환자의 비율이다. 감염성질환에서 감염력이나 전염력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데 유용하다.
'환경보건학 > 공중보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장 환경위생 (0) | 2015.10.20 |
---|---|
제4장 인구와 보건 (0) | 2015.10.20 |
제2장 공중보건학의 개념 (0) | 2015.10.20 |
공중보건학 제1장 건강과 질병 (0) | 2015.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