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강. 환경위생

주요개념

환경위생

인간의 신체 발육, 건강 및 생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거나 미칠 가능성이 있는 모든 환경요소를 관리하는 것

   

온열요소

이학적 체온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기온, 기습, 기류, 복사열로 온열인자라고도 한다.

   

감각온도

기온, 기습, 기류의 3요소가 종합작용에 의하여 인체에 주는 온감

   

불쾌지수

기온, 기습을 고려하여 사람이 느끼는 불쾌감의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

   

쾌감대

적당한 착의상태에서 쾌감을 느낄 수 있는 온열조건

   

카타냉각력

단위 시간에 인체의 단위 면적에서 손실되는 열량

   

지적온도

체온조절에 있어서 가장 적절한 온도

   

5.1.환경위생의 개념

환경(Environment)이란 주체를 둘러싸고 있는 요소의 총체이다. 인간을 중심으로 한 환경은 자연적 환경과 사회적 환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

   

(환경의 분류)

   

'환경위생(WHO, 환경위생전문위원회)'

-       인간의 신체 발육·건강·생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거나 미칠 가능성이 있는 모든 환경요소를 관리하는 것

'환경보건'

-       자연적 환경에 대한 관리 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 및 제반 보건문제를 다룸

   

5.2. 기후

일정지역의 기후는 기온, 기습, 기류, 기압, 풍향, 풍속, 강우, 구름, 일광 등의 기후요소와, 이 기후요소에 영향을 미쳐서 기후의 변화를 일으키는 기후인자, 즉 위도, 해발, 지형, 수륙분포, 해류 등의 분포에 따라 달라진다.

   

'일기'(Weather)

-       하루의 기상 상태

   

'기후'(Climate)

-       매년 반복되는 대기현상의 종합적인 상태

   

'기후의 상대요소'

-       기온, 기습, 기류

   

'기후순화'

-       기후 변화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폭로되면 그 기후에 적응현상이 생기는 것

   

5.3. 온열조건

'체온조절'

-       화학적 조절: 열량소의 열량 방생 (주로 근육으로부터)

-       이학적 조절 : 증발, 복사, 전도 (피부, 호흡기)

   

'온열요소'(온열인자)

이학적 체온조절로 체외 방열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요소(기온, 기습, 기류, 복사열)

   

'온열조건'(thermal condition)

온열요소에 의해 형성된 종합적인 상태는 온열상태 또는 온열조건이라고 한다.

   

5.3.1. 기온

- 대기의 온도, 지상 1.5m 높이에서 측정

- 하루 중 최저기온 : 일출 30분 전, 최고기온 : 오후 2시경

- 대류권(12km이하) : 기온 100m당 0.5 ~ 0.7℃ 하강

- 실내 쾌적기온 : 18±2°c

   

   

5.3.2. 기습(공기 중 포함된 수분의 양(g, mmHg)

-       포화습도 : 공기 1㎥가 함유할 수 있는 수증기의 한계량

-       절대습도 : 현재 공기 1 ㎥ 중에 함유된 수증기량

-       상대습도(비교습도) :

상대습도(비교습도) = 절대습도/포화습도 Ⅹ 100

-       쾌적기습 : 40 ~ 70%

   

5.3.3. 기류

기류는 氣動 또는 바람이라고 하며, 이는 기압의 차와 기온의 차에 의하여 생긴다.

-       쾌적기류

실내 : 0.2 ~ 0.3m/sec

실외 : 1.0 m/sec 정도

-       불감기류

피부로 감지하지 못하는 기류로 0.5m/sec이하

불감기류의 측정 : 카타온도계

-       무풍 : 0.1m/sec 이하

   

5.3.4. 복사열

-       발열체로부터 직접 복사에 의한 열, 발열체 주위에서 느끼는 온감

-       태양광선이나 난로 주위에서는 실제온도보다 더 따뜻함

-       복사열은 적외선에 의한 열

-       복사열에 의한 온감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       복사열의 측정 : 흑구온도계

   

5.4. 온열요소의 종합지수

5.4.1. 감각온도(Effective temperature)

기온, 기습, 기류의 세 인자가 종합작용을 하여 인체에 주는 온감을 말하며, 무풍에 포화습도(100%)일 때의 온감을 기준으로 함.

   

   

   

5.4.2. 불쾌지수(Discomfort Index, DI)

기온과 기습에 따라 사람이 느끼는 불쾌감의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미국에서는 불쾌지수를 발표함으로써 불쾌감을 더욱 조장한다고 해서, 이를 온습지수(Temperature-Humidity Index, THI)라는 말로 바꾸오 부르기도 한다.

   

DI = (건구온도 ℃ + 습구온도 ℃) Ⅹ 0.72 + 40.6

   

5.4.3. 쾌감대

쾌담대란 적당한 착의상태에서 쾌감을 느낄 수 있는 온열조건이며, 불감기류, 습도 60~65%, 기온 17~18℃ 일 때이다. 힐-셰퍼드에 쾌감대 표에 따르면 기온 18℃면 습도 65%, 기온 20℃면 습도 50%일 때를 쾌적감으로 본다.

   

 

   

   

5.4.4. 카타냉각력

'공기의 냉각력'

기온과 기습이 낮고 기류가 클 때는 인체의 체열 방산량이 증대된다. 기온, 기습, 기류의 세 인자가 종합하여 인체로부터 열을 빼앗는 힘을 공기의 냉각력(cooling power)라고 한다.

   

'카타냉각력'이란 단위 시간에 인체의 단위 면적에서 손실되는 열량을 말한다.

-       카타온도계를 이용하여 100℉에서 95℉로 내려가는 시간을 측정하여 산출

-       카타온도계는 인체에 대한 공기의 냉각력 측정에 사용하지만, 불감기류와 같은 미풍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기류측정의 미풍계로도 사용함.

   

5.4.5. 지적온도(Optimum temperature)

-       주관적 지적온도(쾌적 감각온도) : 감각적으로 가장 쾌적하게 느끼는 온도

-       생산적 지적온도(최고 생산온도) : 생산능률을 최고로 올릴 수 있는 온도

-       생리적 지적온도(기능 지적온도) : 최소의 에너지로 최대의 생리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온도

   

   

5.5. 공기

공기는 물·음식물과 함께 인간 생명유지의 절대적 요소이며, 성인의 경우 1일 필요 공기량이 약 13㎘이다.

   

'공기의 주요성분'

   

   

5.5.1. 산소(O2)

-       호흡 및 영양소의 연소에 이용

-       1회 호흡시 4 ~ 5%의 산소 취함

-       성인의 경우 안정시 1일 약 550 ~ 650ℓ의 산소 필요

-       Hb + O2 로 각 조직에 산소공급

-       대기중 산소의 변동범위 : 15 ~ 30%정도

-       산소량 10%이하 : 호흡곤란, 7%이하 : 질식사

-       다량흡입 : 산소중독증, 산소부족 : 저산소증

   

5.5.2. 질소

-       정상기압 상태에서는 인체에 영향 없음

-       고기압 상태에서는 중추신경계 마취작용

-       잠함병(감압병)

고압환경에서 갑자기 감압시 혈액속에 녹아있던 질소가 기포를 형성하여 혈전현상을 일으킴. 잠수부, 해녀들에게 많이 발생

   

5.5.3. 이산화탄소

-       무색·무취의 비독성가스, 물체 연소시 발생

-       온실효과로 인한 지구온난화 현상 야기

-       실내 공기오염의 판정기준

-       이산화탄소의 실내 서한량 : 0.1%(1,000ppm)

-       군집독 (Crowd poisoning)

좁은 공간에 다수인이 밀집해 있을 때 실내 기후의 물리·화학적 조성 변화로 생기는 불쾌감, 두통, 현기증, 구기 등의 현상

   

5.5.4. 일산화탄소

-       무색·무취의 맹독성 가스, 불완전 연소시 많이 발생

-       Hb과의 친화성이 산소에 비하여 210~300배 강함

-       일산화탄소의 이중작용(혈중의 O2 농도 저하, 조직세포의 O2 부족)

-       일산화탄소의 서한량 1시간 기준 : 400 ppm 8시간 기준 : 100 ppm(0.01%)

-       1000ppm(0.1%)이상이면 생명 위독

   

5.6. 물

'중수도'

하수를 재활용 하여 이용하는 방법이다. 수질이 상수와 하수의 중간 위치에 있기 때문에 붙여진이름이다. 가정이나 대형건물의 각종 하수·폐수를 간단히 처리하여 화장실 용수, 청소용수, 세차용수 등으로 재사용되는 수도이다.

   

'암모니아성 질소(NH3-N)'

수질검사에서 암모니아성 질소는 분변오염을 의심하게 하는 지표로서 의미가 있다. 암모니아성 질소는 0.5㎎/ℓ를 넘지 않아야 하며, 암모니아성 질소의 검출은 수질이 유기물에 오염된지 얼마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환경보건학 > 공중보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장 인구와 보건  (0) 2015.10.20
공중보건학 제3장 보건지표  (0) 2015.10.20
제2장 공중보건학의 개념  (0) 2015.10.20
공중보건학 제1장 건강과 질병  (0) 2015.10.20

T.B.A.

'환경보건학 > 공중보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장 환경위생  (0) 2015.10.20
공중보건학 제3장 보건지표  (0) 2015.10.20
제2장 공중보건학의 개념  (0) 2015.10.20
공중보건학 제1장 건강과 질병  (0) 2015.10.20

제3강 보건지표

   

주요개념

보건지표

보건지표란 인간의 건강상태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제반사항, 즉 보건에 관한 정책, 제도, 자원, 환경, 인구, 가치관 등에 관한 전반적인 수준이나 특성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따라서 보건지표는 인구집단의 건강수준을 측정하는 도구로 지역사회나 국가간의 건강수준을 측정하고 비교평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사망지표

사망수준을 나타내는 보건지표이다.

   

출산력지표

출산력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귀족위험도

원인이라고 의심되는 위험요인에 폭로된 단위인구당 질병발생률에서 폭로되지 않은 단위인구당 질병발생률을 뺀 것이다.

   

상대위험도

어떤 위험요인에 폭로된 사람이 위험요인에 폭로되지 않은 사람에 비하여 특정 질병에 걸릴 확률이 얼마나 높은가를 보는 것이다.

   

3.1.2. 보건지표의 조건

WHO에서 보건지표가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하기의 필요조건을 갖추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이용가능성(Availability) : 주기적으로 생산되어 쉽게 이용 가능해야 한다.

    일반화(Universality) : 모든 인구집단에 적용 가능해야 하며, 특정 집단인 경우 별도 표시를 해야 한다.

    수용성(acceptance) : 개발방법이 타당하여 결과를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재현성(reproducibility) : 동일한 대상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 시 동일한 결과가 나와야 한다.

    특이성(Specificity) : 측정하고자 하는 현상만을 반영하여야 한다.

    민감성(Sensitivity) : 측정하고자 하는 현상의 변화정도(크기)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정확성(Validity) : 측정하고자 하는 현상을 정확히 나타내어야 한다.

   

3.1.2. 보건지표의 구분

세계보건기구에서는 국민건강을 위한 제반 사항의 진척과 건강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네 개의 주요 지표로 구분하여 이용할 것을 권장하였다.

   

(1)   보건정책지표

-       건강에 대한 정치적인 공약 및 정책

-       보건자원의 배분 및 공평 정도

-       보건사업에 대한 지역사회의 참여도

   

(2)   보건에 관련된 사회·경제적인 지표

-       인구

-       국민소득

-       경제활동

-       교육정도 등

   

(3)   보건의료관리지표

-       의료의 효용성

-       의료에 대한 물리적 접근성

-       의료에 대한 경제적 접근성

-       의료의 활용성 등

   

   

(4)   건강상태지표

-       영아사망률

-       평균수명

-       모성사망률

-       사인별 사망률

-       질병 발생률 등

   

3.2. 사망지표

3.2.1. 보통사망률(Crude death rate)

인구 1,000명당 1년간 발생한 총 사망자 수

보통사망률 = 1년간 총 사망자 수/연앙인구 x 1,000

   

3.2.2. 특수사망률(Age-sex specific death rate)

특정집단의 사망률

성별·연령별 특수 사망률 = 특정 성별·연령별 년간 총 사망자 수/해당집단의 연앙 인구 x 1,000

   

3.2.3. 영아사망률

영아란(Infant) 생후 1년 미만의 아이를 말함.

영아사망률 = 연간 1세미만의 사망아 수/연간 총 출생아 수 x 1,000

   

   

3.2.4. 신생아사망률(neonatal morality period)

신생아는 생후 28일 미만의 아이를 말함.

신생아사망률 = 연간 생후 28일 미만의 사망아수/연간 총 출생아 수 x 1,000

   

영아 사망 수 중 신생아 사망 수의 비율이 커질수록 해당 지역이나 국가의 건강수준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는 a-index로 나타내며 1에 가까워질수록 건강수준이 높다.

α- index = 영아 사망수/신생아 사망수

   

3.2.5. 사산율(Fetal death rate or still birth rate)

사산율 = 총사산아수/총출생아수 + 총사산아수 x 1,000

   

3.2.6. 주산기사망률

주산기 사망 : 임신 28주 이후 사산아와 생후 7일 미만의 사망아

주산기 사망률 : 임신 28주이후 사산아수 + 생후 7일미만의 사망아수/총 출산아수 X 1,000

   

3.2.7. 모성사망률

모성사망 : 임신, 출산, 산욕기 산모의 사망

모성사망률 : 연간 모성사망자수/총 출생아수 X 100,000

   

3.2.8. 비례사망지수

전체 사망자 수 중에서 50세 이상의 사망자 수가 차지하는 백분율이 비례사망지수(Proportional Mortality Indicator, PMI)이다.

비례사망지수 = 연간 50세 이상 사망자수/연간 총사망자수 x 100

   

3.3. 출산력지표

'가임력'(Fecundity)

     

   -       생물학적 임신능력

'출산율'(Fertility rate)

     

   -       한 인구에서 발생된 출산수의 빈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정상출생, 사산 및 유산을 모두 포함한 것이다.

'출생'

     

   -       분만 중 정상출생만을 의미한다.

   

3.3.1. 보통출생률(Crude birth rate, 조출생률)

보통출생률 = 연간 총 출생아수/연앙 인구 x 1,000

   

3.3.2. 일반출산율(General fertility rate, GFR)

가임연령의 여자인구에 대한 특수출생률

일반출산율 = 연간 총 출생아수/가임연령의 여자 인구 x 1,000

3.3.3. 연령별출산율

f(x) = x세 여자가 낳은 출생아수/x세의 여자 인구 x 1,000

   

3.3.4. 합계출산율

한 여성이 일생을 지내는 동안에 아이를 몇 명이나 낳는지 나타낸 지수

합계출산율 =

   

3.3.5. 총재생산율 (Gross reproduction rate, GRR)

한 여자가 일생동안 낳는 평균 여자아이 수, 15~49세 연령층 여자의 연령별 여아 출산율의 합계

   

   

3.3.6. 순재생산율(Net reproduction rate, NRR)

출생여아의 가임 연령까지의 생존율을 고려한 총재생산율

   

3.4. 질병관련지표

3.4.1. 발생률(incidence rate)

단위 인구당 일정 기간에 새로 발생한 환자의 비율

발생률 = 위험에 폭로된 인구 중 새로 발병한 환자수/일정기간 위험에 폭로된 인구(감수성자) x 10x

   

3.4.2. 발병률(attack rate)

유행의 전체 기간 중에 새로 발병한 환자의 비율

   

3.4.3. 2차 발병률(secondary attack rate)

발단환자(index case)를 가진 가구의 감수성자 중에서 병원체의 최장 잠복기간에 발병하는 환자의 비율이다. 질병의 감염력·전염력을 측정하는데 유용하다.

2차 발병률 = 접촉한 감수성자 중 발병한 환자수/환자와 접촉한 감수성자 x 100

   

3.4.4. 유병률

일정시점 또는 일정기간의 인구 중 존재하는 환자의 비율로 시점유병률과 기간유병률이 있다.

   

시점유병률 = 일정시점에서의 환자수/일정시점의 인구 x 10x

기간유병률 = 일정기간 내 존재하는 환자수/일정기간의 중앙인구 x 10x

   

*발생률과 유별률의 차이

- 발생률 : 위험에 폭로된 인구(감수성자) 중 특정 질병에 걸릴 확률의 개념(분모에 면역형성자·현재환자 제외)

- 유병률 : 일정시점 또는 일정기간의 인구 중 존재하는 환자의 비율 개념

   

3.4.5. 귀속위험도, 상대위험도

귀속위험도(기여위험도)

위험요인에 폭로된 단위 인구당 질병발생률에서 위험요인에 폭로되지 않은 단위 인구당 질병발생률을 뺀 것(특정 원인 때문에 발생하는 질병발생률이 얼마나 되는 지를 보는 지표)

   

귀속위험도 = 폭로군의 질병발생률 - 비폭로군의 질병발생률

Ex)

 

   

상대위험도(비교위험도)

어떤 위험요인에 폭로된 집단의 특정 질병발생률이 위험요인에 폭로되지 않은 집단의 특정 질병발생률보다 얼마나 높은지를 보는 지표

   

   

   

   

   

   

1. 보건지표의 구분은 보건정책지표, 보건에 관련된 사회ㆍ경제적인 지표, 보건의료관리지표, 건강상태지표 등이 있다.

   

  - 보건정책지표 : 건강에 대한 정치적인 공약 및 정책, 보건자원의 분배 및 공평정도, 보건사업에 대한 지역사회의 참여도

   

  - 보건에 관련된 사회경제적인 지표 : 인구, 국민소득, 수입분포, 경제활동, 교육정도, 주택환경, 식량유용성 등

   

  - 보건의료관리지표 : 의료의 효용성, 물리적 접근성, 경제문화적 접근성, 의료의 활용성, 의료의 질

   

  - 건강상태지표 : 영아사망률, 유아사망률, 평균수명, 모성사망률, 발생률, 유병률 등

   

2. 사망지표에는 보통출생률, 성별ㆍ연령별 특수사망률, 영아사망률, 신생아 사망률, 사산율, 주산기사망률, 모성사망률, 비례사망지수 등이 있다.

   

3. 출산력지표에는 보통출생률, 일반출산율, 연령별 출산율, 합계출산율, 총재생산율, 순재생산율 등이 있다.

   

4. 질병 관련지표에는 발생률, 발병률, 2차발병률, 유병률, 귀속위험도, 상대위험도 등이 있다.

   

  - 발생률 : 단위인구당 일정기간에 새로 발생한 환자수로 나타내며 이 질병에 걸릴 확률개념으로 면역을 가진사람은 분모에서 제외한다.

   

  - 발병률 : 발병률은 발생률과 유사하나 발병률은 유행의 전체기간 중 새로 발병한 비율이고, 발생률은 유행의 일정기간에 새로 발생한 비율이다.

   

  - 2차 발병률 : 발단환자를 가진 가구의 감수성 있는 가구원 중에서 이 병원체의 최장 잠복기간에 발병하는 환자의 비율이다. 감염성질환에서 감염력이나 전염력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데 유용하다.

'환경보건학 > 공중보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장 환경위생  (0) 2015.10.20
제4장 인구와 보건  (0) 2015.10.20
제2장 공중보건학의 개념  (0) 2015.10.20
공중보건학 제1장 건강과 질병  (0) 2015.10.20

주요 개념

공중보건학

조직적인 지역사회의 노력을 통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시키며, 신체적ㆍ정신적 효율을 증진시키는 기술이며 과학이다.

   

예방의학

의학을 기초로 하여 개인 또는 가족 중심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학문이다.

   

보건의료

의학을 기초로 하여 개인 또는 가족 중심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학문이다.

   

일차보건의료

지역사회 수준에서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필요한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보건의료이다.

   

장기설

나쁜 공기가 우리 몸속에 들어와 질병이 발생한다는 질병발생설이다.

   

4액체설

인체는 혈액, 점액, 황담즙, 흑담즙으로 되어 있다는 설이다.

   

2.1.공중보건학의 개념

2.1.1.공중보건학의 정의(Winslos)

"Public health is the art and science of preventing disease, prolonging life and promoting physical and mental efficiency through organized community effort for

    The sanitation of the environment

    The control of communicable infections

    The education of the individual in personal hygiene,

    The organization of medical and nursing services for early diagnosis and preventive treatment of disease, and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machinery to insure everyone a standard of living adequate for the maintenance of health, so organizing these benefits as to enable every citizen to realize his birthright of health and longevity."

   

-       공중보건학의 목표

    질병예방

    수명연장

    신체적, 정신적 효율 증진

   

   

2.1.2.공중보건학의 관련 학문

(1)공중위생학

환경위생에 중점을 두고 인구집단의 질병예방 및 건강관리를 다루는 학문

(2)예방의학(Preventive medicine)

의학에 기초를 두고 개인 또는 가족 중심으로 질병예방 및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학문

(3)지역사회 보건학, 지역사회 의학

지역사회보건학이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지역사회가 주체가 되어 보건문제 해결에 관한 학문

지역사회의학이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그 지역의 보건의료문제 해결에 관한 학문

(4)사회의학(Social medicine)

질병 또는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요인을 규명하여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학문

(5)건설의학(Constructive medicine)

최고 수준의 건강상태 도달을 목표로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문

   

2.1.5.보건의료의 개념

(1)의료(Medical Care)

질병을 치료하는 활동이며, 자연과학적인 접근에 의한 활동.

(2)보건의료(Health Care)

질병의 예방하고 치료하는 활동으로, 자연과학뿐만 아니라 사회과학적 접근이 가미된 활동을 말함.

   

(3)포괄적인 보건의료(Comprehensive health care)

건강증진활동, 질병의 예방, 치료, 재활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보건의료

종래에는 건강개념을 질병이 없는 상태로 규정하고 질병관리가 건강관리의 모든 것이었다. 그러나 건강개념이 숙주, 외부환경, 개인행태요인을 중요시하는 사회-생태학적으로 해석되며, 건강한 상태에서부터 질병, 회복의 모든 상태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보건의료 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2.1.5. 1차 보건의료

1차 보건의료(Primary health care)란 지역사회 수준에서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필요한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보건의료를 말한다.

   

출현배경은 전 인류의 상당수가 기본적인 보건의료 혜택을 받지 못 하고 있는데 기인하며, 그 이유를 크게 보건의료의 접근성이 낮은 문제와 높은 보건의료비 두 가지로 보았다.

   

(1) 1차 보건의료의 접근방법

    이용의 용이성

    지역사회의 수용성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참여

    저렴한 비용

   

(2) 1차 보건의료의 내용

    건강문제의 규명 및 관리방법의 교육(보건교육)

    식량의 공급 및 영양 증진

    안전한 물의 공급 및 기본적인 환경위생

    가족계획을 포함한 모자보건

    지역사회 주된 전염병의 예방접종

    그 지역의 지방병 예방 및 관리

    통상질환과 상해의 적절한 치료

    정신보건의 증진

    기본적인 약의 제공

지역주민이 가지고 있는 건강문제의 80% 이상이 1차 보건의료로 해결될 수 있기 때문에 1차 보건의료사업만 잘해도 인구집단의 건강문제 중 80%가 해결될 수 있다.

   

   

2.1.7 지역사회 보건수준의 평가

- 보건지표(건강지표), WHO 권장 보건지표(평균수명, 보통사망률, 비례사망지수)

   

2.2. 공중보건학의 발전사

고대기

- 그리스시대의 의성 히포크라테스는 자연과학에서 의학은 분리 및 독립시켰으며, 장기설과 4액체설을 주장하였다.

   

중대기

여명기

- 이탈리아 의사 라마치니(Ramazzini)는 직업병에 관한 저서를 발간함.

- 독일의 프랑크(Frank)는 "국민의 건강을 확보하는 것은 국가의 책임이다."라는 견해를 가지고 '전의사경찰체계'를 발간함.

- 영국의 채드윅(Chadwick)은 열병환자에 대사 조사 보고서 "Fever report"를 발간함. 이 보고서는 위생개혁의 중요성과 중앙과 지방을 총괄할 보건행정기구의 필요성을 제시함으로써, 1848년 세계 최초의 공중보건법(Public Health Act)이 제정되었으며, 이법에 근거하여 공중보건국과 지방보건국이 설치되었다.

   

확립기

세균학 및 면역학 분야의 많은 업적이 나옴

   

'환경보건학 > 공중보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장 환경위생  (0) 2015.10.20
제4장 인구와 보건  (0) 2015.10.20
공중보건학 제3장 보건지표  (0) 2015.10.20
공중보건학 제1장 건강과 질병  (0) 2015.10.20

 

    공중보건학

인구집단의 건강을 보호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학문

   

분야

환경보건분야, 질병관리분야, 보건관리분야

   

1. 건강과 질병

개요

세계보건기구가 규정한 건강의 정의, 기본권으로서의 건강개념, 질병발생의 요인, 질병의 예방등에 대하여 알아본다.

   

주요개념

- 생물의학적 건강개념

인간의 신체와 정신은 분리되어 있다고 보고 신체는 마치 기계와 같아 기계가 고장난 상태가 질병이다. 신체의 고장난 부분

이 없으면 건강상태가 된다. 즉 신체에 질병이 없는 상태를 건강으로 보는 개념이다.

   

- WHO 건강의 정의

단순히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ㆍ정신적, 사회적 안녕이 완전한 상태이다.

   

- 보건의료서비스 형평성

건강은 기본권으로서 건강요구에 대한 보건의료서비스의 균등한 혜택을 말한다.

   

- 질병의 자연사

질병이 발생하여 종결될 때까지의 과정을 말한다.

   

1.1.건강의 개념

2. 건강개념의 변천

(1)생물의학적 건강개념(데카르트의 이원론에 기초를 두고 있음)

정신과 육체는 분리되어 있으며, 정신은 신의 뜻으로 과학의 대상이 될 수 없으나 육체는 마치 시계와 같은 기계로서 부속 하

나가 인간의 지식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고 보았다. 질병은 기계의 부속 하나가 고장 난 것이며 고장난 부분을 고치면 건강

이 회복된다는 개념.

   

  

의학 발전에 기여했지만, 다양한 요인에 의한 만성질병의 증가로 한계를 보이며, 치료중심의 방식이 국민 건강 증진에 효과

적이지 못하다는 비판

   

(2)건강개념의 모형

①생물의학적 모형(Biomedical model)

②생태학적 모형(Ecological model)

- 질병 발생의 원인을 병인, 숙주, 환경으로 보고 3요소가 균형을 이룰 떄가 건강상태라는 모형

- 전영성 질환의 발생기전 설명에는 적합

- 만성퇴행성 질환의 설명 어려움

③사회-생태학적 모형(Socio-ecological model)

- 질병발생의 영향요인을 숙주요인, 외부환경요인, 개인행태 요인으로 보고 행태적 요인을 강조한 모형

- 병인은 환경에 포함

- AIDS, 만성퇴행성질환 등으로 개인의 행태 중요성 인식

   

3. 건강의 정의

(1)세계보건기구의 정의

"Health is a complete state of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 being and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or infirmity."

- 건강이란 단순히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이 완전한 상태이다.

- 사회적 안녕이란 사회구성원으로서 각자에게 부여된 기능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2)소극적 건강(Negative Health)

- 단순히 질병에 걸리지 않거나 손상, 장애가 없는 상태

(3)적극적 건강(Positive Health)

- 몸과 마음, 정신적으로 안녕한 상태를 누리며 활발하게 사회적 활동을 할 수 있는 상태.

-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이상을 실현해 갈 수 있는 상태.

   

4. 기본권으로서의 건강

현대에는 국민의 권리로서 건강에 대한 국가의 보호를 받아야 한다는 개념이 일반적임.

(1)보건의료서비스의 형평성

접근의 형평성, 이용의 형평성, 질적 형평성

   

1.2.질병의 개념

1. 질병의 발생

(1)Gordon의 지렛대 이론(Lever theory)

- 건강상태는 병원체, 숙주, 환경요인 들이 평형을 이루어 어느 쪽으로도 기울지 않은 상태로 간주함.

   

(2)Clark의 질병발생 3원론

- 질병발생 : 병인, 숙주, 환경 3요인의 상호작용

- 병인 : 병원체 뿐만 아니라, 화학물질, 영양물질, 물리적 요인, 유전적 소인 등

   

2. 질병의 자연사

Leavell과 Clark는 질병의 자연사를 비병원성기, 조기병원성기, 조기질환기, 발현된 질환기, 회복기 등 다섯 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필요한 예비적 조치를 제시하였다.

- 비병원성기 : 숙주의 저항력, 환경요인이 숙주에게 유리하여 건강을 유지하는 단계

- 조기병원성기 : 병인의 자극형성 단계, 숙주의 면역강화

- 조기질환기 : 병적 변화의 초기 단계, 조기진단 및 조기치료

- 발현된 질환기(임상질환기) : 질병치료로 악화방지 및 장애 최소화

- 회복기 : 질병치료 후 재활단계, 재활서비스, 사회복귀훈련

   

'환경보건학 > 공중보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장 환경위생  (0) 2015.10.20
제4장 인구와 보건  (0) 2015.10.20
공중보건학 제3장 보건지표  (0) 2015.10.20
제2장 공중보건학의 개념  (0) 2015.10.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