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강. 환경위생
주요개념
환경위생
인간의 신체 발육, 건강 및 생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거나 미칠 가능성이 있는 모든 환경요소를 관리하는 것
온열요소
이학적 체온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기온, 기습, 기류, 복사열로 온열인자라고도 한다.
감각온도
기온, 기습, 기류의 3요소가 종합작용에 의하여 인체에 주는 온감
불쾌지수
기온, 기습을 고려하여 사람이 느끼는 불쾌감의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
쾌감대
적당한 착의상태에서 쾌감을 느낄 수 있는 온열조건
카타냉각력
단위 시간에 인체의 단위 면적에서 손실되는 열량
지적온도
체온조절에 있어서 가장 적절한 온도
5.1.환경위생의 개념
환경(Environment)이란 주체를 둘러싸고 있는 요소의 총체이다. 인간을 중심으로 한 환경은 자연적 환경과 사회적 환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
(환경의 분류)
'환경위생(WHO, 환경위생전문위원회)'
- 인간의 신체 발육·건강·생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거나 미칠 가능성이 있는 모든 환경요소를 관리하는 것
'환경보건'
- 자연적 환경에 대한 관리 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 및 제반 보건문제를 다룸
5.2. 기후
일정지역의 기후는 기온, 기습, 기류, 기압, 풍향, 풍속, 강우, 구름, 일광 등의 기후요소와, 이 기후요소에 영향을 미쳐서 기후의 변화를 일으키는 기후인자, 즉 위도, 해발, 지형, 수륙분포, 해류 등의 분포에 따라 달라진다.
'일기'(Weather)
- 하루의 기상 상태
'기후'(Climate)
- 매년 반복되는 대기현상의 종합적인 상태
'기후의 상대요소'
- 기온, 기습, 기류
'기후순화'
- 기후 변화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폭로되면 그 기후에 적응현상이 생기는 것
5.3. 온열조건
'체온조절'
- 화학적 조절: 열량소의 열량 방생 (주로 근육으로부터)
- 이학적 조절 : 증발, 복사, 전도 (피부, 호흡기)
'온열요소'(온열인자)
이학적 체온조절로 체외 방열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요소(기온, 기습, 기류, 복사열)
'온열조건'(thermal condition)
온열요소에 의해 형성된 종합적인 상태는 온열상태 또는 온열조건이라고 한다.
5.3.1. 기온
- 대기의 온도, 지상 1.5m 높이에서 측정
- 하루 중 최저기온 : 일출 30분 전, 최고기온 : 오후 2시경
- 대류권(12km이하) : 기온 100m당 0.5 ~ 0.7℃ 하강
- 실내 쾌적기온 : 18±2°c
5.3.2. 기습(공기 중 포함된 수분의 양(g, mmHg)
- 포화습도 : 공기 1㎥가 함유할 수 있는 수증기의 한계량
- 절대습도 : 현재 공기 1 ㎥ 중에 함유된 수증기량
- 상대습도(비교습도) :
상대습도(비교습도) = 절대습도/포화습도 Ⅹ 100
- 쾌적기습 : 40 ~ 70%
5.3.3. 기류
기류는 氣動 또는 바람이라고 하며, 이는 기압의 차와 기온의 차에 의하여 생긴다.
- 쾌적기류
실내 : 0.2 ~ 0.3m/sec
실외 : 1.0 m/sec 정도
- 불감기류
피부로 감지하지 못하는 기류로 0.5m/sec이하
불감기류의 측정 : 카타온도계
- 무풍 : 0.1m/sec 이하
5.3.4. 복사열
- 발열체로부터 직접 복사에 의한 열, 발열체 주위에서 느끼는 온감
- 태양광선이나 난로 주위에서는 실제온도보다 더 따뜻함
- 복사열은 적외선에 의한 열
- 복사열에 의한 온감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 복사열의 측정 : 흑구온도계
5.4. 온열요소의 종합지수
5.4.1. 감각온도(Effective temperature)
기온, 기습, 기류의 세 인자가 종합작용을 하여 인체에 주는 온감을 말하며, 무풍에 포화습도(100%)일 때의 온감을 기준으로 함.
5.4.2. 불쾌지수(Discomfort Index, DI)
기온과 기습에 따라 사람이 느끼는 불쾌감의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미국에서는 불쾌지수를 발표함으로써 불쾌감을 더욱 조장한다고 해서, 이를 온습지수(Temperature-Humidity Index, THI)라는 말로 바꾸오 부르기도 한다.
DI = (건구온도 ℃ + 습구온도 ℃) Ⅹ 0.72 + 40.6
5.4.3. 쾌감대
쾌담대란 적당한 착의상태에서 쾌감을 느낄 수 있는 온열조건이며, 불감기류, 습도 60~65%, 기온 17~18℃ 일 때이다. 힐-셰퍼드에 쾌감대 표에 따르면 기온 18℃면 습도 65%, 기온 20℃면 습도 50%일 때를 쾌적감으로 본다.
5.4.4. 카타냉각력
'공기의 냉각력'
기온과 기습이 낮고 기류가 클 때는 인체의 체열 방산량이 증대된다. 기온, 기습, 기류의 세 인자가 종합하여 인체로부터 열을 빼앗는 힘을 공기의 냉각력(cooling power)라고 한다.
'카타냉각력'이란 단위 시간에 인체의 단위 면적에서 손실되는 열량을 말한다.
- 카타온도계를 이용하여 100℉에서 95℉로 내려가는 시간을 측정하여 산출
- 카타온도계는 인체에 대한 공기의 냉각력 측정에 사용하지만, 불감기류와 같은 미풍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기류측정의 미풍계로도 사용함.
5.4.5. 지적온도(Optimum temperature)
- 주관적 지적온도(쾌적 감각온도) : 감각적으로 가장 쾌적하게 느끼는 온도
- 생산적 지적온도(최고 생산온도) : 생산능률을 최고로 올릴 수 있는 온도
- 생리적 지적온도(기능 지적온도) : 최소의 에너지로 최대의 생리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온도
5.5. 공기
공기는 물·음식물과 함께 인간 생명유지의 절대적 요소이며, 성인의 경우 1일 필요 공기량이 약 13㎘이다.
'공기의 주요성분'
5.5.1. 산소(O2)
- 호흡 및 영양소의 연소에 이용
- 1회 호흡시 4 ~ 5%의 산소 취함
- 성인의 경우 안정시 1일 약 550 ~ 650ℓ의 산소 필요
- Hb + O2 로 각 조직에 산소공급
- 대기중 산소의 변동범위 : 15 ~ 30%정도
- 산소량 10%이하 : 호흡곤란, 7%이하 : 질식사
- 다량흡입 : 산소중독증, 산소부족 : 저산소증
5.5.2. 질소
- 정상기압 상태에서는 인체에 영향 없음
- 고기압 상태에서는 중추신경계 마취작용
- 잠함병(감압병)
고압환경에서 갑자기 감압시 혈액속에 녹아있던 질소가 기포를 형성하여 혈전현상을 일으킴. 잠수부, 해녀들에게 많이 발생
5.5.3. 이산화탄소
- 무색·무취의 비독성가스, 물체 연소시 발생
- 온실효과로 인한 지구온난화 현상 야기
- 실내 공기오염의 판정기준
- 이산화탄소의 실내 서한량 : 0.1%(1,000ppm)
- 군집독 (Crowd poisoning)
좁은 공간에 다수인이 밀집해 있을 때 실내 기후의 물리·화학적 조성 변화로 생기는 불쾌감, 두통, 현기증, 구기 등의 현상
5.5.4. 일산화탄소
- 무색·무취의 맹독성 가스, 불완전 연소시 많이 발생
- Hb과의 친화성이 산소에 비하여 210~300배 강함
- 일산화탄소의 이중작용(혈중의 O2 농도 저하, 조직세포의 O2 부족)
- 일산화탄소의 서한량 1시간 기준 : 400 ppm 8시간 기준 : 100 ppm(0.01%)
- 1000ppm(0.1%)이상이면 생명 위독
5.6. 물
'중수도'
하수를 재활용 하여 이용하는 방법이다. 수질이 상수와 하수의 중간 위치에 있기 때문에 붙여진이름이다. 가정이나 대형건물의 각종 하수·폐수를 간단히 처리하여 화장실 용수, 청소용수, 세차용수 등으로 재사용되는 수도이다.
'암모니아성 질소(NH3-N)'
수질검사에서 암모니아성 질소는 분변오염을 의심하게 하는 지표로서 의미가 있다. 암모니아성 질소는 0.5㎎/ℓ를 넘지 않아야 하며, 암모니아성 질소의 검출은 수질이 유기물에 오염된지 얼마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환경보건학 > 공중보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장 인구와 보건 (0) | 2015.10.20 |
---|---|
공중보건학 제3장 보건지표 (0) | 2015.10.20 |
제2장 공중보건학의 개념 (0) | 2015.10.20 |
공중보건학 제1장 건강과 질병 (0) | 2015.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