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해결을 위한  고어 기후변화 환경단체 기후프로젝트에서 작성한 자료입니다

 

먼지폭풍으로 인한 중국 및 아프리카의 식량 수급 악화

   

 

By Janet Larsen

번역 : 김찬회

   

사람들이 '흙먼지 폭풍'(dust bowl)이라는 단어는 들었을 때 대부분 1930년대 미국 중부지대를 떠올릴 것이다. 당시 정부의 농가장려정책과 밀 풍년으로 대초원지대(the Great Plains)의 경작 활성화를 이끌었지만 미국 역사상 최악의 환경재앙 또한 발생했다.

   

   

   

   

환경연구원 및 몇몇 농가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1950년대부터 60년대 초까지 행해진 소련의 농경지개척정책(Virgin Lands Project)에서 같은 일이 되풀이 되었다. 1억 에이커, 약4천만 핵타르에 달하는 초원에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은 경작지를 형성했으며, 니키타 흐루시초프는(Nikita Khrushchev) 서시베리아 지역에서 기존보다 더 많은 식량을 생산 하고자 했다. 하지만 가뭄이 오자, 표면의 흙이 말라 날리기 시작했다. 1965년도까지 새로 개척된 지역의 거의 절반이 풍식작용의 영향으로 피해를 입었으며 수확량 또한 곤두박질 쳤다. 결국, 농부들은 이 지역을 버리고 떠날 수 밖에 없었다.

   

유감스럽게도, 이 같은 '먼지폭풍'은 단지 과거의 일이 아니다. 현재에도 새롭게 형성된 두 개의  '먼지폭풍'이 있으며, 이 중 하나는 중국 북부 및 남몽골 지역에, 다른 하나는 아프리카의 사하라 남부 지역에 생성되었다. 미국과 소련 지역의 Dust Bowl의 원인이 지난친 개량사업 때문이라면, 아시아 및 아프리카 지역의 주된 원인은 지나친 축산업이 그 요인이다. 건조지역의 초원은 농업보다 축산업에 더 적합하지만, 가축의 과도한 방목은 목초지를 일순간 황폐하게 만들 수 있다.

   

   

   

   

중국은 전체 영토의 40%가 초원지대이다. 국제연합식량기구(FAO)에 따르면 1970년대 후반 시작된 농지개혁 이후 중국 내 사육되는 소의 수는 1980년대 5천 2백만에서 2000년도 약 1억 5백만으로 증가했다. 동일기간 양과 염소의 수 또한 1억 8천만에서 2억 8천만으로 급등했다. 이와 같은 가축의 과도한 밀집으로 인해 해당 토지는 지속 가능하지 못 할 만큼의 상당한 압력을 받는다. 중국과 비슷한 수준의 가축 수용능력이 있는 미국은 비슷한 규모로 소를 사육하지만 양과 염소의 수는 9백만에 불과하다.

      

중국 축산업에서 그 수가 가장 빠르게 성장한 가축은 염소이다. 1980년대 중순 시작된 염소 축산업은 불과 10년만에 그 수가 배로 증가 했다. 염소는 황량한 토지에서도 먹이로 사용할 풀을 관리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다른 가축들이 살기 힘든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생존하는 특성이 있다. 하지만 다수의 염소가 있다는 것은 추가적인 환경파괴가 일어날 수 있는 징표와 같다. 척박한 토지에 그나마 남아있는 풀들을 먹이로 사용하고 땅을 더욱 황폐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초원 지대 중 약 90%에 해당하는 지역이 황폐해 진 것을 인지한 중국 정부는 녹화사업, 방목 및 가축에 대학 규제 등을 통한 복구사업에 착수했다. 또한, 중국 정부는 해당 지역에서 유목민들을 떠나게 하거나 환경 보호를 이유로 그들의 이동을 규제했다. 하지만, 이러한 토속적 유목민들에 대한 규제가 반대로 토지를 더욱 황폐하게 만들었고 목축민들 또한 환경의 예측 불가한 변화에 대비할 수 없게 되었다.

   

국제연합식량기구(FAO)의 자료에 따르면 2000년부터 중국 내 소의 수가 2천만 마리 가량 줄었으며, 양과 염소의 수도 성장세가 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이 가축의 수를 줄이려는 정책의 영향인지, 축산업 종사자들의 이동 때문인지는 확실하지는 않다.

   

시간이 지나며, 중국의 황사로 인한 피해는 더욱 심해졌다. 중국 내 영토 중 4분의 1이상이 사막화 되었으며 매년 이러한 지역이 증가하고 있다. 1950년부터 중국의 24,000여 가구가 주거지를 버리고 이주하였고, 모래언덕으로 인해 3천5백만명에 달하는 인구가 직접적인 피해를 받았다.

   

이와 같은 피해는 사막 지역 외에 더 많은 지역까지 그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황사는 봄에 발생한다. 겨울에 얼어있던 눈이 녹은 후 중국 북부와 몽골 지역에서 일어난 바람이 먼지 및 모래를 싣고 베이징과 한국을 거쳐 중국까지 이동한다. 심지어 태평양 건너 북아메리카 대륙까지 이동하기도 했다. 중국 기상청은 2006년의 발생한 기록적인 황사는 33만톤에 달하는 양의 모래를 베이징에 퍼부었다고 전했다. 이는 베이징 거주민 한 사람 당 44파운드에 달하는 모래의 양이다. 2007년도에 중국 타클리마칸(Taklimakan) 사막에서 발생한 황사는 단 2주만에 지구를 한 바퀴 돌았다고도 한다.

   

   

   

   

사막화방지학자 왕타오(Wang Tao)는 21세기 첫 십 년 동안 87번의 황사 바람이 중국을 덮쳤다고 한다. 가시거리가 200미터도 안 될 정도의 심각한 먼지폭풍의 발행 횟수 또한 증가하고 있다. 1950년대에 5차례, 70년대에 13차례, 90년도에 23차례, 2000년부터 2009년도까지는 21차례 발생했다.

   

한국의 환경부 또한 중국 및 몽골지역에서 발생한 황사의 한국 내 영향 기간 및 강도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고 전한다. 1970년도에 23일이던 황사 기간이 1980년도에는 39일, 1990년도에는 77일, 2000년도부터 2011년도까지는 118일로 점점 늘고 있다고 한다.

 

전지구적 규모로 봤을 때 대기 중 먼지의 가장 큰 근원지는 아프리카에 있다. 아프리카는 전체 대륙 중 3분의 2에 달하는 면적을 사막 및 건조 지대가 차지하고 있다. 아프리카 대륙의 약 75%에 달하는 면적이 황량한 지역이 되었다. 가뭄과 인간들의 부주의로 인해,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발생한 먼지바람은 지난 40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아프리카 지역에서 생기는 많은 양의 먼지바람은 현재 상승하고 있는 해수 온도와 함께 케리비안 연안의 산호초에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내 사헬지역(Sahelian Zone)의 토지는 점점 황폐해지고 인구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주민들은 농업과 목축업으로 힘겹게 삶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사막화는 부르키나 파소, 차드, 니제르, 나이지리아와 같은 국가에서 특히 더 심각하다. 특히, 나이지리아는 매년 86만 8천 에이커에 이르는 토지를 사막화로 인해 잃어가고 있다. 유목민과 농업 종사자들간의 갈등은 점점 더 심해지고 있지만, 또한 두 그룹 모두 토지 황폐화를 악화시키고 있다. 주로 북쪽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나이지리아의 목축민들은 그들이 기르는 가축의 수를 급격히 증가 시켰으며, 이로 인해 이미 척박한 환경의 토지에 더 많은 악영향을 가하고 있다. 1990년대 나이지리아 내 소의 수는 1천4백만, 양의 수는 1천2백만, 염소는 2천3백만이었다. 2010년도까지 소의 수는 1천7백만으로 다소 증가하였지만 양의 수는 3배, 염소의 수는 5천6백만으로 2배 가량 증가했다.

 

아프리카와 중국 두 국가 모두 사막화의 진행을 멈추기 위해 녹색벽 운동(Great Green Wall)을 야심 차게 시작했다. 전 나이지리아 대통령 올루세군 오바산조와 전 세네갈 대통령 압둘라예 와데를 위시한 정치지도층들도 이 상징성을 띈 대규모 프로젝트를 지지하였다. 실제 미국이 먼지폭풍으로 고통을 겪을 당시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 또한 대규모 방풍림 조성에 관심을 가졌다. 사헬지역과 중국에서의 사막화 방지 정책은 기초적인 방풍림 형성 이외에도 전체론적인 토지 관리 및 빈곤층부양 활동으로까지 그 범위가 넓혀졌다. 한편, 중국은 사막화 방지 정책의 일환으로 1980년대부로 400억 그루의 나무를 심었지만 대부분의 나무가 생존하지 못 했다. 이러한 제한적인 성공은 사막화 방지를 위해서 단지 나무 심기만으로는 부족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기후 변화는 사막화에 대한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1970년대부터의 전지구적 기온 상승 이후 지구의 많은 지역이 건조한 상태로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 지구의 온도가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가뭄 또한 더욱 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신속한 온실가스 감축과 인구 및 가축의 증가를 완화하는 방법이 먼지폭풍을 과거의 일로 남기기 위한 해결책이 될 것이다.

   

   

   

   

   

   

   

출처 :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을 위한  고어의 NGO단체 기후프로젝트
홈페이지 - http://www.sgf.or.kr해피빈 블로그: http://happylog.naver.com/tcp.do


 
기후프로젝트는 환경보호와 자원과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이메일로만 소식지를 발송합니다

  

  

 

   

 

Expanding Dust Bowls Worsening Food Prospects in China and Africa 

Janet Larsen


When most people hear the term "dust bowl," they think of the American heartland in the 1930s, when a homesteading wheat bonanza led to the plowing up of the Great Plains' native grassland, culminating in the greatest environmental disaster in U.S. history.

 

Despite warnings from researchers and some farmers, history repeated itself in the Soviet Virgin Lands Project in the 1950s to early 1960s. Some 100 million acres (40 million hectares) of grassland were plowed under in Russia, Kazakhstan, and western Siberia during Premier Nikita Khrushchev's push to produce ever more food from the land. When drought hit, the topsoil started to blow away. By 1965, nearly half the newly planted area was degraded by wind erosion. Yields plummeted. Ultimately farmers staged a retreat, abandoning much of that land.

   

Unfortunately, dust bowls are not just relics of the past. Today two new dust bowls are forming: one in northern China and southern Mongolia and the other in Africa south of the Sahara. Whereas the dust bowl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were the result of overplowing, the main culprit in Asia and Africa is overgrazing. Although arid or semiarid grasslands are typically better suited for grazing livestock than for farming, once they are overstocked their protective grass covering deteriorates and they face erosion all the same.

 

Forty percent of China's land area is grassland. Following agricultural reforms that began in the late 1970s, in which collectively owned livestock were transferred to household ownership, China's cattle herds grew from 52 million in 1980 to nearly 105 million in 2000, according to the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Meanwhile, China's population of sheep and goats ballooned from close to 180 million to 280 million. Such a high concentration of grazing animals has put unsustainable pressure on the land. For comparison, the United States—a country with comparable grazing capacity—hosts a similar number of cattle but only 9 million sheep and goats.

 

The fastest growth in China's livestock occurred with goats; starting in the mid-1980s, the herd size doubled in just 10 years. This is particularly troubling because a fast expansion of goat populations relative to cattle can indicate grassland deterioration. Goats are hardy, able to survive where few other grazers can. They can make efficient use of remaining greenery on nearly barren landscapes. Yet large numbers of goats often portend further environmental degradation because as the animals remove existing vegetation, they leave   soils vulnerable to erosion from wind or rain.

 

Noting that an extraordinary 90 percent of China's grasslands are degraded, the Chinese government has embarked on restoration programs, including re-vegetation, grazing bans, and livestock confinement. The government also has moved nomadic herders off the land or limited their movement under the guis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Evidence from the field, however, reveals that disrupting traditional grazing patterns can exacerbate land degradation and leave pastoralists more vulnerable to the vagaries of the weather.

 

FAO data indicate that since 2000, China's cattle numbers have shrunk by 20 million, and the growth in sheep and goat herds appears to have stalled. Whether this can be attributed to policies aimed at reducing herd size or the relocation of herders is unclear.

 

Meanwhile, much damage has been done, and China's dust bowl rages on. More than a quarter of China's land area is covered by desert, and each year spreading sands claim additional territory. Expanding deserts in the arid northwest are merging. Since 1950, more than 24,000 Chinese villages have been abandoned or are seriously in danger of succumbing to traveling dunes, with some 35 million people directly affected.

 

The effects reach far beyond the desert margins. Spring is the dust storm season. The snow melts and the wind picks up, transporting dust and sand particles from northern China and Mongolia as far as Beijing and on to Korea and Japan, sometimes even crossing the Pacific to cloud parts of North America. The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reports that a single severe dust storm in 2006 dumped 330,000 tons of dust from the west onto Beijing: a stunning 44 pounds for each of the city's residents. In 2007, a dust storm originating in China's spreading Taklimakan Desert circled the globe in just under two weeks.

 

Desert scholar Wang Tao notes that in the first decade of the twenty-first century, China experienced 87 dust storms. Records of very strong dust storms (in which visibility is reduced below 200 meters) show an increase over recent decades, from 5 in the 1950s to 13 in the 1970s, 23 in the 1990s, and 21 between 2000 and 2009. (See data.)

 

The Kore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notes a similar rise in dust storms arriving from China and Mongolia, with talk of a lengthening and strengthening "yellow dust season" in South Korea. Dust events clouded 23 days in the 1970s, 39 days in the 1980s, 77 days in the 1990s, and 118 days from 2000 to 2011.

 

As bad as Asia's dust storms are, the largest source of dust in the atmosphere on a global scale is Africa. Dust has long traveled out of Africa's deserts and drylands, which make up two thirds of the continent's land area; in fact, dust blowing out of Chad's Bodele Depression is thought to help fertilize the lush Amazon rainforest. Nearly 75 percent of Africa's drylands are degraded. With land suffering the double whammy of drought and overuse, dust carried out of West Africa has increased over the last 40 years. Studies suggest that the larger influx of African dust may even be teaming up with rising ocean temperatures to damage Caribbean coral reefs.

 

In the Sahelian zone south of the Sahara the squeeze is on, with fast-growing populations trying to eke out a living by farming or grazing herds on ever less productive land. Desertification is particularly acute in Burkina Faso, Chad, and Niger, as well as in Nigeria, Africa's most populous country, where an estimated 868,000 acres are lost to desert each year. Conflicts over land between herders (largely Muslim) and farmers (largely Christian) are legion, with both groups exacerbating erosion. Nigerian pastoralists, largely in the country's north, have dramatically expanded their herds, putting additional pressure on soils already vulnerable because of erratic rainfall. In 1990, Nigeria had 14 million cattle, 12 million sheep, and 23 million goats. By 2010, cattle populations had climbed just slightly to 17 million, but the number of sheep tripled to 36 million, and goats jumped to 56 million.

 

Both Africa and China have launched ambitious initiatives to halt the spread of deserts with Great Green Walls of trees. Political leaders—including former Nigerian President Olusegun Obasanjo (an early champion of the African Wall) and Abdoulaye Wade, former President of Senegal—tend to favor such large symbolic projects. Indeed in the throes of the U.S. Dust Bowl, President Franklin D. Roosevelt was similarly taken with the idea of a giant shelterbelt. But as happened in the United States, desert containment plans in the Sahel and China have broadened in scope beyond basic tree belts to encompass more holistic land management and poverty alleviation activities. The limited success at holding back the sands in China thus far, where since the early 1980s an estimated 40 billion trees have been planted (although far fewer have survived), confirms that stopping desertification involves much more than planting trees.

 

Climate change is complicating the matter even further. Large parts of the planet are trending toward dryness, with a marked increase in aridity since the 1970s, when global temperatures started to climb. As the Earth heats up further, droughts are projected to become even more pronounced. A rapid reduction in greenhouse gas emissions to prevent runaway global warming, along with a slowdown in the growth of both human and livestock populations to reduce pressure on the land, are what it will take to increase our chances of leaving dust bowls to history.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