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서비스의 시장실패
공공재는 정부의 재정으로 국민들에게 무상으로 공급되는데, 그 이유로서 재화의 성질상 무상으로 공급하지 않을 수 없어서라는 라는 입장과(비배제성; non-exclusion) 경제효율상 무상으로 공급(비경합성; non-ravalry)한다는 입장이 있다. 보건 의료는 상기 공공재적 성질에 부합되지는 않는다. 의료기관이 환자의 지불능력, 성별, 나이 등을 이유로 선별, 배제하고자 한다해도 많은 비용이 들지 않는다. 비경합성 관하여, 약 한정을 한 환자가 복용한다면, 동일 질병의 다른 환자에게도 같은 약을 투여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이 보건의료는 공공재적 성질에서 벗어나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들로 인해 완전한 경쟁시장이 이루어 지기 어려워 정부의 개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1) 소비자의 무지
보건의료 서비스는 서비스의 공급자는 전문적인 지식과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지만, 소비자는 그렇지 못 하여 정보의 비대칭성을 보이고 있다.
(2) 공급의 법적 독점
다른 재화와 달리 보건의료서비스는 그 생산권이 한정된 면허 소지자에게만 주어진다. 인간의 생명을 다루는 직업이기 때문에 충분한 지식과 기술, 인성을 갖춘 사람이 보건의료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그 취지이다. 이러한 면허제는 생산의 독점을 이루는 동시에 자유로운 시장 진입을 차단하는 역활을 한다.
(3) 외부효과의 존재
어떠한 경제활동이 당사자가 아닌 제 3자에게 의도치 않은 영향을 미칠 때 이러한 효과를 외부효과라고 한다. 보건의료서비스의 경우 외부효과가 있다. 감염성 질환을 예로 들면, 본이이 예방접종 또는 치료를 통해 면역이 되었을 경우 주위 다른 사람들이 병에 걸릴 확률이 줄어드는 것을 말한다.
(4) 인간의 기본권
보건의료문제는 인간의 기본권이어서 소득에 관계없이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시장가격기구의 적용이 어렵게 된다.
만약 보건의료 서비스가 정부개입 없이 민간시장에 의해 전담 된다면 서비스 공급자는 수익성이 큰 의료서비스 제공에 치중을 하게 될 것이고 수익성이 적은 일차 의료서비스를 등한시함으로써 질병으로 인한 고통의 증대뿐만 아니라 건강유지를 위한 국민들의 의료비 증가까지 초래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Market Falure of Healthcare System
Public goods are provided by the government for free. There are two distant components of the public goods. One is non-exclusion which means that it is not possible to exclude individuals from using it such as national security, street lighting etc. The other is non-rivalry which means that consumption of it by one individual does not affect or reduce the amount available to be consumed by another individual. Healthcare systems do not have either of these components. It would not cost much for a medical institution to exclude some patients depending on their ability to pay, gender, age, etc. As to non-rivalry, if a patient take a tablet, other patients should also have same tablets too. Although the healthcare system doesn't meet conditions of public goods, government intervenes in the healthcare system becuase it is not easy that perfect competition happens in the health and medical market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1) Customers' lack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 Healthcare Service Provider has much profess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but consumers doesn't. For this reason, there could be consumer problems relate to information asymmetry and they can't help but heavily rely on providers.
(2) Monopoly of supply
As other goods, rights to provide the healthcare service are limited to a certain number of those who have a certificate. Purpose of the certificate is to qualify people who have necessary knowledge and skills because it is related to dealing with Human life. The license system encourages monopoly of supply and also act as a role in restricting market entry.
(3) The existence of external effect
External effect means that an economic activity has an unintended effect on third person, not on the said person. Healthcare system has external effect. For example, if someone is vaccinate against infectious disease, the chance that people around him or her get the disease is reduced.
(4) Basic human right
Healthcare issue is a basic fundamental right. It has to be provided for everyone regardless of income level, so we can't only leave price matter in Healthcare market with the market.
If healthcare system is ruled by the market, service supplier will concentrate on more profitable service and pay little attention to primary health care service which will cause more people to suffer from diseases and a lot of medical expense for their health maintenance.
'환경분야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Expanding Dust Bowls Worsening Food Prospects in China and Africa by Janet Larsen (0) | 2015.10.18 |
---|---|
Getting the Market to Tell the Truth by Lester R. Brown (0) | 2015.10.18 |